비음화 유음화비음화 유음화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음운 변동) 1. 교체 




들어가기 전에...


음운 변동은 음절과 마찬가지로 발음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습니다.


 

 교체

 

a → b 처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음절 끝소리 규칙 


종성에 자음이 오면 반드시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만 발음 되는 현상입니다.


ex)   옷[옫]      




비음화


비음 앞에 비음이 아닌 ㄱ,ㄷ,ㅅ,ㅂ 올 때, 이들이 뒤에 있는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교체되는 형상.


※비음(ㅇ,ㄴ,ㅁ)



ex)  국물[궁물]



(※ 국물[궁물]의 경우처럼 음절 끝소리 규칙의 결과가 비음화와 같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같은 경우는 둘 다 

맞다고 보면 됩니다.)






유음화


 ㄴ 이 앞or뒤에서 ㄹ(유음)의 영향을 받아 ㄹ(유음)로 교체되는 현상


ex)  칼날[칼랄]


(※비음화와 유음화를 자음 동화라고도 합니다)





구개음화


종성에 ㄷ,ㅌ 이 오는 형태소가 ㅣ(단모음),ㅣ(반모음) 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를 만나 ㅈ,ㅊ으로 교체되는 현상.

(ㅣ(단모음),ㅣ(반모음) 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 = 초성에 자음이 붙으면 안됨. ㅇ만)


ex)  같이[가치]






된소리되기(경음화)


예사소리된소리로 교체되는 현상. (앞서 나온 내용(링크) 참고.)


ex)  안고[안꼬]





질문이나 잘못된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단모음 이중모음단모음 이중모음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모음 체계)



 

 모음 체계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뉘게 됩니다.



단모음은 혀의 위치, 입술의 모양 그리고 혀의 높낮음으로 나뉘어집니다.



고모음~저모음으로 갈수록 혀의 높이는 그만큼 낮아지며, 입도 점점 벌어지는 형태를 보입니다.


평순모음은 입을 펼쳐서, 원순모음은 입을 모아서 발음합니다.


(※단모음에는 ㅟ 와 ㅚ 도 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이중모음은 소리를 내는 동안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달라지는 발음 형태를 보여줍니다.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ex)        ㅘ        (   ㅗ   →   ㅏ   )

          이중모음             반모음         단모음



(※ 이 때, 이중모음의 첫 발음으로 쓰이는건 단모음이 아닌 반모음이라고 부릅니다)




자음 체계와 모음 체계는 직접 발음하면서 그 느낌을 알아가는 것이 편합니다.

된소리 거센소리된소리 거센소리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자음 체계) 




 

 자음 체계

 

자음 체계는 크게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





파열음 : 공기가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발음.


마찰음 : 공기를 좁힌 통로 틈으로 새어내서 마찰을 일으키켜 내는 발음.


파찰음 : 파열음 + 마찰음




비음 : 공기를 비강으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콧소리) ㄴㅁㅇ


유음 : 혀끝을 윗잇몸에 대놓고 그 양쪽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발음.


(※울림소리 : 참고로 비음과 유음은 모두 울림소리며, 모음 또한 울림소리로 간주한다)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순서로 발음이 세다.

(표에 나온 평음 경음 격음으로 외우기 보다는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로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나온 규칙들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시험 문제를 풀 수 없는 상황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음운 음절음운 음절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음운, 음절) 1. 음운의 개념 2. 음절의 개념



 

 음운의 개념

 


말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리를 '음성'이라고 하며, 여러 사람들이 말한 특정 단어를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대표적인 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음운은 추상적인 경향을 가짐)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말소리의 단위입니다.




음소(자음과 모음)와 운소(말의 장단, 높낮이, 강약 등 리듬적 요소)가 결합되어 음운이라고 칭합니다.





 

 음절의 개념 

 



음절이란?


한 번에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단위입니다. 발음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글자 수와 음절의 수가 같습니다.


ex) 해돋이 [해도지] 

      단어     음절







음절은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중성은 반드시 있어야 됩니다.


(※ 첫소리에 나오는 ㅇ은 음운으로 보지 않습니다)


ex) 너 = ㄴ + ㅓ (음운 2개)


     어 = ㅓ (ㅇ은 음가가 없기 때문에 ㅓ 하나만 음운으로 쳐서 1개)











초성과 종성에는 자음이 하나만 올 수 있습니다.


딱[딱]


(쌍자음 ex ㄲ ㄸ ㅃ ㅆ ㅉ 은 발음할 때의 거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나의 음운으로 봅니다)



값[갑]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음절은 발음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갑]으로 보아, 종성에는 하나의 자음만 


사용되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내용 정리


음운은 자음, 모음, 말의 리듬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다.


음절은 발음을 기준으로 생각해야 하며, 중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언어의 역사성 언어의 역사성


수능 국어 문법 정리 (언어의 본질) 1. 언어의 특성



 

 언어의 특성 

 



기호성 : 전달하고사 하는 의미를 음성이나 문자로 나타내는 기호의 일종이다.


ex) 사진의 물체를 '시계' 라고 부름으로 인해 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사회성 : 언어는 사회적으로 약속된 규칙이므로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ex) 시계 라고 약속한 것을 마음대로 자동차로 바꿔 부를 수 없다.



자의성 : 언어는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는 각각의 사회 구성원들이 임의적으로(맘대로) 정해놓은 약속이다.


ex) 한국에서는 시계라고 부르지만, 영어로는 clock이라고 불린다.



역사성 : 언어는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말의 생성, 소멸, 소리나 의미의 변화, 문법의 변동 등이 일어날 수 있다.


ex) 스마트폰이라는 단어는 최근에 새로 생김



추상성 : 같은 부류의 사물들을 공통적 속성으로 뽑아내는것으로 인해 큰 의미를 형성할 수 있다.


ex) 축구, 농구, 배구, 야구 → 구기종목



분절성 :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대상을 끊어서 말할 수 있다.


흐르는 강물상류, 중류, 하류로 나눌 수 있다.



규칙성 : 언어의 구조는 일정한 규칙과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창조성 : 한정된 언어로 새로운 단어를 무한하게 만들어낼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