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모음 이중모음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모음 체계)
모음 체계 |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뉘게 됩니다.
단모음은 혀의 위치, 입술의 모양 그리고 혀의 높낮음으로 나뉘어집니다.
고모음~저모음으로 갈수록 혀의 높이는 그만큼 낮아지며, 입도 점점 벌어지는 형태를 보입니다.
평순모음은 입을 펼쳐서, 원순모음은 입을 모아서 발음합니다.
(※단모음에는 ㅟ 와 ㅚ 도 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이중모음은 소리를 내는 동안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달라지는 발음 형태를 보여줍니다.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ex) ㅘ ( ㅗ → ㅏ )
이중모음 반모음 단모음
(※ 이 때, 이중모음의 첫 발음으로 쓰이는건 단모음이 아닌 반모음이라고 부릅니다)
자음 체계와 모음 체계는 직접 발음하면서 그 느낌을 알아가는 것이 편합니다.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운변동 2. 탈락(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으 탈락) (0) | 2017.02.15 |
---|---|
음운 변동 1.교체 (음절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0) | 2017.02.14 |
문법 자음 체계 (비음, 유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0) | 2017.02.14 |
국어 문법 음운, 음절 (0) | 2017.02.13 |
국어 문법 언어의 본질 (사회성, 자의성, 역사성, 추상성, 분절성)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