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역사성 언어의 역사성


수능 국어 문법 정리 (언어의 본질) 1. 언어의 특성



 

 언어의 특성 

 



기호성 : 전달하고사 하는 의미를 음성이나 문자로 나타내는 기호의 일종이다.


ex) 사진의 물체를 '시계' 라고 부름으로 인해 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사회성 : 언어는 사회적으로 약속된 규칙이므로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ex) 시계 라고 약속한 것을 마음대로 자동차로 바꿔 부를 수 없다.



자의성 : 언어는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는 각각의 사회 구성원들이 임의적으로(맘대로) 정해놓은 약속이다.


ex) 한국에서는 시계라고 부르지만, 영어로는 clock이라고 불린다.



역사성 : 언어는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말의 생성, 소멸, 소리나 의미의 변화, 문법의 변동 등이 일어날 수 있다.


ex) 스마트폰이라는 단어는 최근에 새로 생김



추상성 : 같은 부류의 사물들을 공통적 속성으로 뽑아내는것으로 인해 큰 의미를 형성할 수 있다.


ex) 축구, 농구, 배구, 야구 → 구기종목



분절성 :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대상을 끊어서 말할 수 있다.


흐르는 강물상류, 중류, 하류로 나눌 수 있다.



규칙성 : 언어의 구조는 일정한 규칙과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창조성 : 한정된 언어로 새로운 단어를 무한하게 만들어낼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