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음절음운 음절


수능 국어 문법 핵심 정리 (음운, 음절) 1. 음운의 개념 2. 음절의 개념



 

 음운의 개념

 


말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리를 '음성'이라고 하며, 여러 사람들이 말한 특정 단어를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대표적인 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음운은 추상적인 경향을 가짐)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말소리의 단위입니다.




음소(자음과 모음)와 운소(말의 장단, 높낮이, 강약 등 리듬적 요소)가 결합되어 음운이라고 칭합니다.





 

 음절의 개념 

 



음절이란?


한 번에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단위입니다. 발음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글자 수와 음절의 수가 같습니다.


ex) 해돋이 [해도지] 

      단어     음절







음절은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중성은 반드시 있어야 됩니다.


(※ 첫소리에 나오는 ㅇ은 음운으로 보지 않습니다)


ex) 너 = ㄴ + ㅓ (음운 2개)


     어 = ㅓ (ㅇ은 음가가 없기 때문에 ㅓ 하나만 음운으로 쳐서 1개)











초성과 종성에는 자음이 하나만 올 수 있습니다.


딱[딱]


(쌍자음 ex ㄲ ㄸ ㅃ ㅆ ㅉ 은 발음할 때의 거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나의 음운으로 봅니다)



값[갑]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음절은 발음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갑]으로 보아, 종성에는 하나의 자음만 


사용되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내용 정리


음운은 자음, 모음, 말의 리듬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다.


음절은 발음을 기준으로 생각해야 하며, 중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