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문법
지난 1~2편에 이어서 오늘은 마지막 3편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중세 국어 부분은 따로 찾아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성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36. 사이시옷은 언제 쓸까요?
사이시옷 현상은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합성어와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에 쓰이며, 이때 반드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됩니다.
아래 + 니 = 아랫니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나무 + 가지 = 나뭇가지 [나묻까지]
내 + 가 = 냇가 [낻까]
자리 + 세 = 자릿세 [자릳쎄]
이 경우는 순우리말인 '자리'와 한자어인 '세'가 사용되었습니다.
⑵ 뒷말의 첫소리로 'ㄴ, ㅁ'이 나올 때, 그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아래 + 니 = 아랫니 [아랜니]
제사 + 날 = 제삿날 [제산날]
이 경우는 한자어인 '제사'와 순우리말인 '날'이 사용되었습니다.
⑶ 뒷말의 첫소리로 모음이 나올 때, 그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나무 + 잎 = 나뭇잎 [나문닙]
후 + 일 = 훗일 [훈닐]
이 경우는 한자어인 '후'와 순 우리말인 '일'이 사용되었습니다.
*사이시옷 예외 현상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한자어와 한자어로 이루어진 경우의 사이시옷 현상인데요, 이는 예외 현상이기 때문에 잘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셋방, 곳간, 툇간, 숫자, 횟수, 찻간.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예시로 나온 두 음절의 한자어만 사이시옷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당연히 3, 4음절 넘어가는 한자어는 안되겠죠?
37. 지난 일을 나타낼 때는 '더라' 를, 가리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낼 때는 '든지'를 사용합니다.
얼마나 좋던지. (지난 일)
하든지 말든지 알아서 하세요. (가리지 않음)
중세국어
38. '-아'는 판정 의문문에 쓰이고, '-오'는 설명 의문문에 쓰입니다.
판정 의문문은 예, 아니오로 답할 수 있으며, 설명 의문문은 설명을 부탁하는 의문문 입니다.
지금까지 수능 시험을 보기 전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문법들을 쭉 적어봤는데요, 줄이고 줄여도 이렇게나 많이 나오네요.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수능 국어 오답률 순위를 보면 항상 위에 문법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문법 공부가 충분히 돼있다면 빠르게 풀고 나머지 시간을 비문학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여우가 생깁니다.
1번부터 15번까지 틀리지 않고 무난하게 넘긴가는 그 자체가 국어 문제를 풀 때 심리적으로 안정되더라고요.
사실상 거의 3점으로 나오는 문법 문제를 틀리게 된다면 비문학 킬러 문제를 틀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적은 시간을 투자하고도 좋은 효율을 뽑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수능 국어 문법은 3개의 글을 통해 올려두었으니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알고 가야 할 수능 국어 문법 객체높임법, 압존법, 피동, 사동 구분법 (0) | 2017.10.27 |
---|---|
수능 대비 국어 문법 총정리 어간 어근 접사 등 (1) | 2017.10.26 |
수능에 나올 국어 문법 정리 1편 음운, 이중모음, 자음군 단순화 등 (0) | 2017.10.25 |
용언이란? 본용언 보조용언,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구별하기 (0) | 2017.04.26 |
용언이란 무엇인가?(동사와 형용사, 자동사와 타동사) (0) | 2017.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