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정리
품사는 기본적으로 단어를 기준으로 문법적으로 분류합니다.
크게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
용언(동사, 형용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관계언(조사)
독립언(감탄사)
로 나뉘며, 오늘은 체언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언 |
체언은 기본적으로 어미가 아닌 조사와 함께 문법적 기능을 나타냅니다.
체언의 체는 한자로 體(몸 체) 라는 뜻으로, 주체를 뜻하는 단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체언은 기본적으로 명사와 수사 그리고 대명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명사 |
명사란,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가령 딸기, 가로수, 영희 등은 모두 명사라고 볼 수 있겠네요.
명사는 자립성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뉘어집니다.
도움을 받지 않고도 혼자 쓰일 수 있다면 자립명사(자동차, 비행기, 귤),
앞에 꾸며주는 말이 반드시 있어야 되는 의존명사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
* 의존명사의 예로는
'보고 들은 대로 서술하세요.'
'아직 남은 것이 있다.'
처럼 앞에 꾸며주는 단어가 없다면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를 보신다면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보실 수 있는데요,
바로 꾸며주는 말과 띄어쓴다는 점입니다.
이를 이용해 어미와 의존명사를 구별하는 척도로 쓴다면 편리합니다.
(어미는 붙여 쓰며, 의존명사는 띄어 씁니다)
ex) 시험에 이 부분이 중요한지 아무도 모른다. (어미로 쓰인 'ㄴ지')
모의고사를 본 지도 벌써 오랜 시간이 지났다. (의존명사로 쓰인 '지' )
대명사 |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여 크게 부르는 품사를 뜻합니다.
크게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미지칭 대명사, 부정칭 대명사로 나뉩니다.
지시 대명사
사람을 제외한 사물이나 위치, 장소를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여기, 저기, 저것, 이것 등)
인칭 대명사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크게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로 보시면 됩니다.
1인칭(화자, 화자를 포함한 대상) : 나, 우리, 저희
※'저희' 의 경우,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1인칭이기도 아니기도 합니다.
ex) 옆 반 아이들은 자주 저희끼리만 놀아요. (옆 반 아이들 = 저희) 1인칭 x
저희 차례인가요? 1인칭 o
2인칭(청자) : 너, 너희, 여러분
3인칭(1인칭과 2인칭을 제외한 나머지) : 그들, 그, 그남자
미지칭 대명사
모르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ex) 지금 들고 있는 그게 무엇이니?
넌 도대체 누구니?
부정칭 대명사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ex)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교과서.
※ '누구'라는 단어는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미지칭 대명사가 되기도, 부정칭 대명사가 되기도 하니,
반드시 정해진 상황에 따라 판별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사 |
수사란,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ex) 천, 만, 십만, 백만
첫째, 둘째, 셋째,
요약
체언은 조사와 함께 쓰이며, 명사, 대명사, 수사로 나뉩니다.
의존명사는 띄어 쓰며, 어미는 붙여 씁니다.
대명사의 경우, 같은 단어라도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그 분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언이란 무엇인가?(동사와 형용사, 자동사와 타동사) (0) | 2017.04.15 |
---|---|
사이시옷 현상에 대한 정리, 문제 푸는 팁 (1) | 2017.04.05 |
국어 문법 음운변동 3.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축약) 4.첨가(ㄴ첨가, 반모음 첨가) (4) | 2017.02.20 |
음운변동 2. 탈락(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으 탈락) (0) | 2017.02.15 |
음운 변동 1.교체 (음절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