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현상사잇소리 현상



사이시옷 현상은 사실 나중에 따로 정리하려 했으나 중요하기 때문에 먼저 올려봅니다.


사잇소리는 합성어를 만들 때 발음의 편리함을 위해 덧생기는 소리입니다.


사실 사잇소리를 판단하는 조건은 꽤 까다롭습니다.


일단 합성어가 기본 전제이며, 앞에 나오는 말에 받침이 없어야 됩니다. (자음이 아닌 모음으로 끝)


또한, 합성 과정에서 순 우리말이 하나는 있어야 합니다. (예외가 되는 한자어가 일부 있습니다. 이는 뒤에서 설명)


그리고 사이시옷이 가지는 발음 형태로 사용돼야 합니다.


이렇게 다 나열해보니 정말로 많아보이는데요, 하나 하나 알아보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으니 잘 따라오시면 되겠습니다.



  사이시옷의 발음 규정


순 우리말로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긴 하지만 후자의 경우 굉장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편하게 사이시옷 현상이 되는 단어는 고유어(순 우리말)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한자어 (한자어 + 순 우리말)


두음절의 한자어(앞에서 말한 예외)


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요, 첫 번째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유어로 된 합성어의 경우


1. 뒷말의 첫소리로 나오는 'ㄴ, ㅁ' 앞에서 'ㄴ'소리로 나는 경우


ex) 잇몸 [인몸] , 시냇물 [시낸물] , 윗니 [윈니] , 아랫니 [아랜니]



2. 뒷말의 첫소리가 모음으로 나올 때 'ㄴㄴ'으로 발음되는 경우


ex) 깻잎 [깬닙] , 나뭇잎 [나문닙]



3.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ex 나룻배 [나룯빼/나루빼] , 나뭇가지 [나묻까지/나무까지] (둘 다 발음으로 인정됨)





2. 고유어와 한자어로 이루어진 경우 (빨강은 한자어, 파랑은 고유어)


1. 뒷말의 첫소리로 나오는 'ㄴ, ㅁ' 앞에서 'ㄴ'소리로 나는 경우 


ex) 제삿날(제사+) [제산날] 


2. 뒷말의 첫소리가 모음으로 나올 때 'ㄴㄴ'으로 발음되는 경우


ex) 훗일(+) [훈닐]


3.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ex) 전셋집(전세+) [전섿찝/전세찝] , 최솟값(최소+) [췌솓깝/최소깝] , 자릿세(자리+) [자릳쎄/자리쎄]





3.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두 음절로 이루어진 한자어 


숫자, 횟수, 퇴산, 곳간, 찻간, 셋방


이 이외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사이시옷 자체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문제 푸는 팁



사이시옷 관련 문제가 나왔을 때,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을 여러분에게도 알려드릴까 합니다.


일단 제가 임의로 문제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음 중 사이시옷 현상에 맞지 않은 잘못된 표기의 단어를 모두 고르시오


ⓛ 기댓값


② 갯수


③ 숫자


④ 등굣길


⑤ 냇물


⑥ 전셋방


⑦ 뒷꿈치




푸는 요령


먼저 예외로 사용되는 여섯 한자어를 먼저 골라내줍니다.


3번에 숫자는 예외로 쓰이는 한자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옳은 선택지입니다.


나머지 선택지 중에서 한자어로 이루어진 다른 단어들은 모두 오답으로 보고 제외시켜줍니다.


2번의 갯수는 (개+수)의 두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이기 때문에 오답이 되겠습니다.


옳은 표현으로는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는 개수가 맞겠습니다.


또한, 전셋방의 경우에도 (전세+방)의 두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이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맞게 고쳐쓴다면 전세방이 되겠네요.


다음으로 발음에 주의하여 판단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기댓값 (기대+값) [기댇깝] (된)


등굣길 (등교+길) [등굗낄] (된)


냇물 (내+물) [낸물] (ㄴ)


뒷꿈치 (뒤+꿈치) (사이시옷 발음 규정에 해당하지 않음. 옳게 고쳐 쓴다면 뒤꿈치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 6번, 7번이 되겠습니다.





대충 감이 오셨나요?


마지막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예외 한자어 있는지 체크


2. 선지에 나온 합성어들을 두 단어로 쪼개놓기 ex 냇물(내+물)


3. 한자어끼리의 결합이 있는지 체크


4. 사이시옷의 발음 규정에 맞게 발음 되는지 체크




혹시라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질문 남겨주세용

품사 정리품사 정리




품사는 기본적으로 단어를 기준으로 문법적으로 분류합니다.


크게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

용언(동사, 형용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관계언(조사)

독립언(감탄사)


로 나뉘며, 오늘은 체언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언


체언은 기본적으로 어미가 아닌 조사와 함께 문법적 기능을 나타냅니다.


체언의 체는 한자로 體(몸 체) 라는 뜻으로, 주체를 뜻하는 단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체언은 기본적으로 명사와 수사 그리고 대명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명사



명사란,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가령 딸기, 가로수, 영희 등은 모두 명사라고 볼 수 있겠네요.



명사는 자립성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뉘어집니다.


도움을 받지 않고도 혼자 쓰일 수 있다면 자립명사(자동차, 비행기, 귤),


앞에 꾸며주는 말이 반드시 있어야 되는 의존명사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



* 의존명사의 예로는 


'보고 들은 대로 서술하세요.'


'아직 남은 이 있다.'


처럼 앞에 꾸며주는 단어가 없다면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를 보신다면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보실 수 있는데요,


바로 꾸며주는 말과 띄어쓴다는 점입니다.


이를 이용해 어미와 의존명사를 구별하는 척도로 쓴다면 편리합니다.


(어미는 붙여 쓰며, 의존명사는 띄어 씁니다)


ex) 시험에 이 부분이 중요한지 아무도 모른다. (어미로 쓰인 'ㄴ지')

     모의고사를 본 도 벌써 오랜 시간이 지났다. (의존명사로 쓰인 '지' )





  대명사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여 크게 부르는 품사를 뜻합니다.



크게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미지칭 대명사, 부정칭 대명사로 나뉩니다.



지시 대명사


사람을 제외한 사물이나 위치, 장소를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여기, 저기, 저것, 이것 등)




인칭 대명사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크게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로 보시면 됩니다.





1인칭(화자, 화자를 포함한 대상) : 나, 우리, 저희


※'저희' 의 경우,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1인칭이기도 아니기도 합니다.


ex) 옆 반 아이들은 자주 저희끼리만 놀아요. (옆 반 아이들 = 저희) 1인칭 x

     저희 차례인가요? 1인칭 o




2인칭(청자) : 너, 너희, 여러분





3인칭(1인칭과 2인칭을 제외한 나머지) : 그들, 그, 그남자





미지칭 대명사


모르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ex) 지금 들고 있는 그게 무엇이니? 

     넌 도대체 누구니?





부정칭 대명사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ex)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교과서.



※ '누구'라는 단어는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미지칭 대명사가 되기도, 부정칭 대명사가 되기도 하니, 


반드시 정해진 상황에 따라 판별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사


수사란,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ex) 천, 만, 십만, 백만

    첫째, 둘째, 셋째, 








요약


체언은 조사와 함께 쓰이며, 명사, 대명사, 수사로 나뉩니다.


의존명사는 띄어 쓰며, 어미는 붙여 씁니다.


대명사의 경우, 같은 단어라도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그 분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음운 변동음운 변동


국어 문법 음운변동 3.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축약) 4.첨가(ㄴ첨가, 반모음 첨가)


(축약과 첨가는 수능 시험에 자주 나오는 유형만 놓고 봤을 때 많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하여 두 개를 한꺼번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개인 공부 블로그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제 기준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들만


적게 되는 경향이 있어, 빠진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잘 이해가 안되는 내용의 경우 댓글을 통해 질문해 주시면 


최대한 답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D)



 

 축약

 


a+b = c 의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두 음운이 합쳐져서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축약되는) 현상입니다.


크게 거센소리되기와 모음 축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1.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ㄱ,ㄷ,ㅂ,ㅈ)가 ''을 만나면 거센소리(ㅋ,ㅌ,ㅍ,ㅊ)로 축약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ex) 수묵화 [수무콰]    + =  (의 거센소리인 으로)


     입학 [이팍]         + = (의 거센소리인 으로)



※참고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에 대한 설명은 지난 포스팅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습니다.


혹시라도 이 개념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링크)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요약하자면 간단하게 예사소리 < 된소리 < 거센소리 순서로 발음이 세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ex) ㅂ(예사소리) < ㅃ(된소리) < ㅍ(거센소리)




2. 모음 축약


간단하게 두 모음이 만나 다른 모음으로 바뀌는(축약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중 모음을 만드는 과정을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이중 모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ex) 배우 + 어 [배워]    ㅜ+ㅓ = (이중모음)



(※주의   나서 + 어 [나서] 의 경우엔 탈락입니다. ㅓ+ㅓ = ㅓ 의 형태로, 모음 하나가 중간에 탈락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기 + 어 [기여]는 모음 축약이 아닙니다. 반모음이 첨가된 형태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 는 그대로 있지만 '어'가 '여'로 반모음이 첨가된 형태. 첨가에 대해서는 바로 아래에서 다룹니다)

(2015년 수능 당시 문제)







 

 첨가

 

두 음운이 만나는 과정에서 다른 음운이 첨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1. ㄴ첨가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야,여,요,유'라면


ㅇ자리에 ㄴ을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해줍니다.




음. 그냥 저렇게만 설명하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안갈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꽃잎[꼰닙]  


끝이 자음인 ㅊ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음절이 '이' 로 끝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ㅇ자리를 ㄴ으로 첨가(교체 아닙니다. 저번 포스팅때도 강조했지만 ㅇ은 종성에서만 비로소 인정해줍니다.

잘 이해가 안가신다면 링크 클릭하시면 설명되어있습니다) 하면 됩니다.


비슷한 예로 막일[망닐], 식용유[시굥뉴] 



(참고로 식용유[시굥뉴]같은 경우에는 앞서서 말한 것 처럼 ㅇ이 종성에 있기 때문에 자음으로 인정해줘서

유가 뉴로 바뀐것입니다)




2. 반모음 첨가


용언의 어간 부분 뒤에서 반모음이 첨가되는 현상입니다.


앞에서 잠깐 주의사항으로 언급한 내용이 전부입니다.


ex) 피어 [피어/피여] 


'어'가 '여'로 반모음이 첨가된 상태



자음군 단순화자음군 단순화


수능 국어 문법 정리 (음운변동) 2. 탈락



 

 탈락

 

a → (없음)


ab → a


의 형태. 두 음운이 만나, 한 음운이 탈락하는 현상.




자음군 단순화


겹받침에 쓰인 음운들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ex)  앉[안]  않[안]





ㅎ 탈락


어간의 끝소리로 나온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아, 이 등) 형식 형태소와 결합할 때 'ㅎ' 탈락됩니다.


ex)  쌓아[싸아]






ㄹ 탈락


용언의 어간에서 끝소리로 나온 'ㄹ'이 'ㄴ,ㄷ,ㄹ,ㅂ,ㅅ,ㅈ' 등 자음 앞에서 'ㄹ' 탈락됩니다.


ex)  놀 + 는 → [노는]   살 + 는 → [사는]





으 탈락


어간의 끝소리로 나온 '으'가  '아', '어' 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으 ' 탈락됩니다.


ex)  쓰 + 어서 [써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