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현상
사이시옷 현상은 사실 나중에 따로 정리하려 했으나 중요하기 때문에 먼저 올려봅니다.
사잇소리는 합성어를 만들 때 발음의 편리함을 위해 덧생기는 소리입니다.
사실 사잇소리를 판단하는 조건은 꽤 까다롭습니다.
일단 합성어가 기본 전제이며, 앞에 나오는 말에 받침이 없어야 됩니다. (자음이 아닌 모음으로 끝)
또한, 합성 과정에서 순 우리말이 하나는 있어야 합니다. (예외가 되는 한자어가 일부 있습니다. 이는 뒤에서 설명)
그리고 사이시옷이 가지는 발음 형태로 사용돼야 합니다.
이렇게 다 나열해보니 정말로 많아보이는데요, 하나 하나 알아보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으니 잘 따라오시면 되겠습니다.
사이시옷의 발음 규정 |
순 우리말로 이루어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긴 하지만 후자의 경우 굉장히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편하게 사이시옷 현상이 되는 단어는 고유어(순 우리말)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한자어 (한자어 + 순 우리말)
두음절의 한자어(앞에서 말한 예외)
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요, 첫 번째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유어로 된 합성어의 경우
1. 뒷말의 첫소리로 나오는 'ㄴ, ㅁ' 앞에서 'ㄴ'소리로 나는 경우
ex) 잇몸 [인몸] , 시냇물 [시낸물] , 윗니 [윈니] , 아랫니 [아랜니]
2. 뒷말의 첫소리가 모음으로 나올 때 'ㄴㄴ'으로 발음되는 경우
ex) 깻잎 [깬닙] , 나뭇잎 [나문닙]
3.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ex 나룻배 [나룯빼/나루빼] , 나뭇가지 [나묻까지/나무까지] (둘 다 발음으로 인정됨)
2. 고유어와 한자어로 이루어진 경우 (빨강은 한자어, 파랑은 고유어)
1. 뒷말의 첫소리로 나오는 'ㄴ, ㅁ' 앞에서 'ㄴ'소리로 나는 경우
ex) 제삿날(제사+날) [제산날]
2. 뒷말의 첫소리가 모음으로 나올 때 'ㄴㄴ'으로 발음되는 경우
ex) 훗일(후+일) [훈닐]
3.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ex) 전셋집(전세+집) [전섿찝/전세찝] , 최솟값(최소+값) [췌솓깝/최소깝] , 자릿세(자리+세) [자릳쎄/자리쎄]
3.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두 음절로 이루어진 한자어
숫자, 횟수, 퇴산, 곳간, 찻간, 셋방
이 이외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사이시옷 자체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문제 푸는 팁 |
사이시옷 관련 문제가 나왔을 때,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을 여러분에게도 알려드릴까 합니다.
일단 제가 임의로 문제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음 중 사이시옷 현상에 맞지 않은 잘못된 표기의 단어를 모두 고르시오
ⓛ 기댓값
② 갯수
③ 숫자
④ 등굣길
⑤ 냇물
⑥ 전셋방
⑦ 뒷꿈치
푸는 요령
먼저 예외로 사용되는 여섯 한자어를 먼저 골라내줍니다.
3번에 숫자는 예외로 쓰이는 한자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옳은 선택지입니다.
나머지 선택지 중에서 한자어로 이루어진 다른 단어들은 모두 오답으로 보고 제외시켜줍니다.
2번의 갯수는 (개+수)의 두 한자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이기 때문에 오답이 되겠습니다.
옳은 표현으로는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는 개수가 맞겠습니다.
또한, 전셋방의 경우에도 (전세+방)의 두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이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맞게 고쳐쓴다면 전세방이 되겠네요.
다음으로 발음에 주의하여 판단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기댓값 (기대+값) [기댇깝] (된)
등굣길 (등교+길) [등굗낄] (된)
냇물 (내+물) [낸물] (ㄴ)
뒷꿈치 (뒤+꿈치) (사이시옷 발음 규정에 해당하지 않음. 옳게 고쳐 쓴다면 뒤꿈치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 6번, 7번이 되겠습니다.
대충 감이 오셨나요?
마지막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예외 한자어 있는지 체크
2. 선지에 나온 합성어들을 두 단어로 쪼개놓기 ex 냇물(내+물)
3. 한자어끼리의 결합이 있는지 체크
4. 사이시옷의 발음 규정에 맞게 발음 되는지 체크
혹시라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질문 남겨주세용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언이란? 본용언 보조용언,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구별하기 (0) | 2017.04.26 |
---|---|
용언이란 무엇인가?(동사와 형용사, 자동사와 타동사) (0) | 2017.04.15 |
국어 품사 정리 1.체언(명사, 수사, 대명사) (0) | 2017.03.29 |
국어 문법 음운변동 3.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축약) 4.첨가(ㄴ첨가, 반모음 첨가) (4) | 2017.02.20 |
음운변동 2. 탈락(자음군 단순화, ㅎ 탈락, ㄹ 탈락, 으 탈락) (0) | 2017.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