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문법 수능 국어 문법



수능 대비 국어 문법 정리 


이어서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에 1편부터 쭉 보시면 더욱 좋습니다.




13. 접사는 어근에 붙어 뜻을 제한하거나 덧붙이며, 위치에 따라 접두사와 접미사로 나뉩니다.

특히 접미사는 뒤에 붙어 품사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새파랗다'는 '새'(접사)+'파랗'(어근)+'다'(어미)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14. 접사와 어근의 구분?


'새신랑'과 '새하얗다'에 동통적으로 들어가는 '새'는 모두 접사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앞의 '새신랑'에서 '새'는 새롭다는 뜻을 가진 어근으로 보아야 하며, 뒤의 '새하얗다'에서의 '새'는 접사입니다.






15. 조사는 자립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단어로 인정합니다. 


왜 갑자기 이 이야기가 나왔을까요?


접사 또한 자립할 수 없지만 조사와 달리 단어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근과 붙은 한 덩어리로 취급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를 구분할 때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참고로 단일어는 하나의 어근, 합성어는 둘 이상의 어근, 파생어는 어근과  접사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문제에 어떤 식으로 나오는지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먹/다'


'먹/고'


'먹/었다' ('었'은 어미로 쓰임.)


'먹히/다' ('히'는 접미사로 쓰임.)


'먹히/었다'


이해가 가시나요?


그냥 간단하게 어간과 어미, 어근과 접사로 놓고 각각 판단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어간과 어미는 변하는가 변하지 않는 가로 구분하면 쉽습니다.


위의 '먹다'와 '먹고'에서 '먹'이 변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16. 어근과 파생어가 합쳐지면 합성어가 됩니다.


어근 '윷'과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파생어 '놀이'가 합쳐진 '윷놀이'는 합성어가 됩니다.





17.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차이점은 단어의 배열법에 있습니다.


통사적 합성어가 일반적인 배열법을 갖는다면, 비통사적 합성어는 이에 어긋납니다.


예를 들어 '오르내리다'의 경우 '오르고 내리다'로 써야 맞지만 사이의 '고'가 빠져 '오르내리다'로 쓰입니다.





18. 접두사와 관형사의 차이점은 두 가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접두사는 한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지만 관형사는 크게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풋사과, 풋사랑에는 결합할 수 있지만 '풋빨갛다' 같은 단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② 접두사는 어근에 붙어있지만 관형사는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합니다.

새 건물, 새 보금자리 등 띄어 씁니다.





19. 파생어 중에 개인적으로 중요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건 '-기', '-이', '-음', '-하다', '-되다' 정도 입니다.


'공부하다'는 어근과 파생어의 결합인 합성어로 봐야 맞습니다.




20. 동사와 형용사 구분 법은 현재형 어미를 넣어 판단하면 쉽습니다. (-는다)


예를 들어 '빠르다'가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면 현재형 어미를 넣어보면 됩니다.


현재형 어미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21. 어미와 의존명사는 띄어쓰기로 구분하는 게 쉽습니다.


어미는 잘 아시다시피 반드시 붙여 쓰지만, 의존명사는 띄어 씁니다.





22. 어말 어미 앞에서 시제, 높임, 추측 등을 나타내는 건 어미로 취급합니다. 이를 선어말 어미라고 합니다.

(어말 어미는 단어의 끝에 놓이는 어미를 뜻합니다.)


오/시다


오/시었다


오/시었겠다






23. 결국 문제에서 최종적으로 구분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엄마의 환한 웃음.


엄마가 환하게 웃음.



문장 뒤의 '웃음'을 구분할 수 있다면 완벽히 이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웃음은 접미사가 붙어 명사가 되었고 뒤의 웃음은 어미가 붙은 동사(용언)입니다.






24.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구분은 실제로 해당 용언의 행동을 했느냐로 구분하면 편합니다.


예를 들자면 '먹어 보세요'의 경우 그냥 직관적으로 먹는 행위는 하지만 보는 행위는 하지 않는다는 걸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먹어'는 본용언, '보세요'는 보조용언으로 보면 됩니다.


참고로 본용언과 본용언의 조합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5. 관형사는 다른 형태로 변하지 않고 그 자체로만 쓰입니다. 

이는 다른 품사와 구분할 때 아주 중요합니다.






26. 서술어의 자릿수 


주어 포함 얼마나 필수 성분이 더 필요한지에 따라 한 자리 서술어, 두 자리 서술어, 세 자리 서술어로 나뉩니다.



해가 진다.


나는 여자가 아니다.


친구가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27. 안긴 문장, 안은문장의 구분은 그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몇 번 나왔는 지로 구분하면 됩니다.

여기에 더 깊이 들어가면 명사절을 안은문장, 관형절을 안은문장, 부사절을 안은문장, 서술절을 안은문장 등으로 나누어집니다만 그냥 해당 자리에서 주술관계가 들어갔는 지로 구분하면 됩니다.



팁을 하나 드리자면 그냥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주어와 서술어의 형태를 생각하지 않고 푸는 게 좋습니다.


나는 땀이 나도록 공부했다.


'나는 공부했다'와 '땀이 나도록'에서 주술관계가 두 번 사용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하나 더 살펴보자면 부사절을 안은문장이 되겠네요.



특히 주의할 점은 서술절을 안은문장의 구분입니다.

다른 안은문장 유형들과는 달리 서술어가 하나만 보이기 때문에 자칫 모르고 지나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술어가 들어갈 자리에 주술관계가 들어갔다고 생각하시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나는 머리가 길다.


서술어 자리에 '머리가 길다'라는 주술관계가 들어갔기 때문에 서술절을 안은문장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음에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단모음 이중모음단모음 이중모음




비문학 문제를 위해 최대한 다른 부분에서 덜 틀려야 하기 때문에 국어 문법 부분에서 최대한 점수를 맞고 가는 게 중요합니다.


최대한 정리하는 마음으로 평가원 수능이나 모의고사에 실렸던 부분들 위주로 선별했습니다.


저 또한 문법을 정리하는 마음으로 쓴 것이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현대 국어는 끊어 적기를 원칙으로 하며(분철) 중세 국어는 이어 적기(연철)을 원칙으로 합니다.


ex)


국어 문법 정리국어 문법 정리


③ ㄷ : 어근의 원형을 밝혀 적었다는 점에서 현대 국어와 공통적이다. (x)


앞서 말했듯이 중세 국어는 이어 적기(소리 나는 대로 적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어근의 원형을 밝혀 적었다는 말은 틀린 것이 되겠습니다. 






2. 음운에는 자음과 모음뿐만 아니라 리듬적 요소도 들어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모르셨을 겁니다. 음운은 음소와 운소를 합쳐 생긴 말로, 많이 알고 있는 음소는 자음과 모음을 뜻하며, 운소는 강약, 음의 높고 낮음 등을 뜻합니다.




3.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중성은 반드시 있어야 됩니다.

(참고로 초성의 ㅇ은 음운으로 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종성의 ㅇ은 음운으로 간주합니다)


ex) 

 단어

 음절

음운 

 다

 1개 

 2개 

 당

1개

3개

 아

1개

1개





4. 초성과 종성에는 2개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습니다. 


이건 정말로 중요한 암기사항입니다. 

쌍자음(ㅃ, ㄲ, ㅆ 등)이나 겹자음(ㅄ, ㄳ, ㄶ 등)은 하나로 보기 때문입니다.




5.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의 변화의 예시를 전부 암기하기 힘들다면 


적어도 조음 방법(소리 내는 방법)이 바뀐 것인지, 조음 위치(입모양, 혓바닥 모양)가 바뀐 것인지는 알고 가야 됩니다.


기출문제에 이와 관련된 문제가 나온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① ㅂ이 ㅁ으로 바뀔 때 조음 위치의 변화가 있었다. (x) 


ㅂ이 ㅁ으로 바뀔 때는 조음 위치가 아닌 조음 방법의 변화가 있었기에 틀린 선지입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해당 자음을 속으로 발음하며 어디 가 변화했는지 스스로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6. 비음은 ㄴ, ㅁ, ㅇ, 유음은 ㄹ입니다. 또한 울림소리는 이 둘을 합한 ㄴ, ㄹ, ㅇ, ㅁ이며, 여기엔 모든 모음도 포함됩니다.


(외우기 힘들면 노란 양말로 외우세요. ㄴ, ㄹ, ㅇ, ㅁ)


예를 들어 문제로 이렇게 나왔다고 칩시다.


<보기>

울림소리 뒤 - 'ㅏ' 탈락


그 외의 경우 - '하' 탈락



① 간편하게 - 간편케 (o) 

울림소리인 ㄴ 뒤이기 때문에 ㅏ 가 빠져 남은 ㅎ과 게가 합쳐 케로 발음됨.


② 연구하도록 - 연구토록 (o)

울림소리인 모음 때문에 ㅏ만 탈락해 ㅎ과 도가 합쳐 토로 발음됨.


③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o)

울림소리가 없기 때문에 하를 탈락시켜 그대로 생각건대가 됩니다.






7. 예사소리는 그냥 보통 자음을 뜻하고, 된소리는 쌍자음을 생각하시면 되며, 거센소리는 'ㅎ'소리가 섞여 발음이 거친 것들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 거센소리 ㅋ, ㅌ, ㅍ, ㅊ) 


참고로 발음하면서 보면 쉽게 외워짐





8. 단모음은 ㅏ, ㅓ, ㅗ, ㅜ, ㅢ, ㅐ, ㅔ ,ㅚ ,ㅟ 입니다.





9.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의 결합입니다.

예를 들어 ㅑ = ㅣ+ㅏ 이며, 이때 ㅣ는 반모음이라고 칭합니다. (원래는 반모음 ㅣ 위에 v표시를 해주는 게 맞습니다)

발음해보시면 처음엔 ㅣ소리가 나다 끝에서 ㅏ로 발음되는 걸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혹시 모르실까 봐 ㅒ같은 경우는 ㅣ(반모음) +ㅐ(단모음)입니다)






10. 음절 끝소리 규칙 : 종성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만 발음되는 현상입니다.


(안 외워지면 그냥 '그녀 다리만 보여'로 외우세요. 변태 아님;)


예를 들어 밖[박], 높다[놉다] 등...






11. 여기서 주의할 점은 자음군 단순화와 혼란이 올 수 있다는 거...


음절 끝소리 규칙은 종성이 홑받침, 쌍받침일 때, 자음군 단순화는 겹받침일 때 적용된다는 점. 반드시 알아야 됩니다.


참고로 음절 끝소리 규칙은 교체 현상, 자음군 단순화는 탈락 현상입니다. (쌍자음 겹자음 까먹었으면 4번으로 이동)


ex) 밖[박]의 경우 음절 끝소리 규칙이 사용되었고, 삶[삼]의 경우 자음군 단순화가 사용되었습니다.





12. 반모음은 첨가의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기출문제에서도 이와 관련된 문제가 나와 오답률이 높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① 살피+어 [살펴] 

ㅣ와 ㅓ가 합쳐 ㅕ가 됐기 때문에 축약으로 봅니다.


② 피어 [피여] 

단순히 ㅓ에 반모음이 첨가돼 ㅕ로 바뀐 겁니다. 이 경우 축약이 아닌 첨가겠죠?





이어서 국어 문법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품사 정리품사 정리




품사는 기본적으로 단어를 기준으로 문법적으로 분류합니다.


크게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

용언(동사, 형용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관계언(조사)

독립언(감탄사)


로 나뉘며, 오늘은 체언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언


체언은 기본적으로 어미가 아닌 조사와 함께 문법적 기능을 나타냅니다.


체언의 체는 한자로 體(몸 체) 라는 뜻으로, 주체를 뜻하는 단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체언은 기본적으로 명사와 수사 그리고 대명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명사



명사란,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가령 딸기, 가로수, 영희 등은 모두 명사라고 볼 수 있겠네요.



명사는 자립성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뉘어집니다.


도움을 받지 않고도 혼자 쓰일 수 있다면 자립명사(자동차, 비행기, 귤),


앞에 꾸며주는 말이 반드시 있어야 되는 의존명사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



* 의존명사의 예로는 


'보고 들은 대로 서술하세요.'


'아직 남은 이 있다.'


처럼 앞에 꾸며주는 단어가 없다면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존명사를 보신다면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보실 수 있는데요,


바로 꾸며주는 말과 띄어쓴다는 점입니다.


이를 이용해 어미와 의존명사를 구별하는 척도로 쓴다면 편리합니다.


(어미는 붙여 쓰며, 의존명사는 띄어 씁니다)


ex) 시험에 이 부분이 중요한지 아무도 모른다. (어미로 쓰인 'ㄴ지')

     모의고사를 본 도 벌써 오랜 시간이 지났다. (의존명사로 쓰인 '지' )





  대명사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여 크게 부르는 품사를 뜻합니다.



크게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미지칭 대명사, 부정칭 대명사로 나뉩니다.



지시 대명사


사람을 제외한 사물이나 위치, 장소를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여기, 저기, 저것, 이것 등)




인칭 대명사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크게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로 보시면 됩니다.





1인칭(화자, 화자를 포함한 대상) : 나, 우리, 저희


※'저희' 의 경우,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1인칭이기도 아니기도 합니다.


ex) 옆 반 아이들은 자주 저희끼리만 놀아요. (옆 반 아이들 = 저희) 1인칭 x

     저희 차례인가요? 1인칭 o




2인칭(청자) : 너, 너희, 여러분





3인칭(1인칭과 2인칭을 제외한 나머지) : 그들, 그, 그남자





미지칭 대명사


모르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


ex) 지금 들고 있는 그게 무엇이니? 

     넌 도대체 누구니?





부정칭 대명사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ex)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교과서.



※ '누구'라는 단어는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미지칭 대명사가 되기도, 부정칭 대명사가 되기도 하니, 


반드시 정해진 상황에 따라 판별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수사


수사란,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품사입니다.


ex) 천, 만, 십만, 백만

    첫째, 둘째, 셋째, 








요약


체언은 조사와 함께 쓰이며, 명사, 대명사, 수사로 나뉩니다.


의존명사는 띄어 쓰며, 어미는 붙여 씁니다.


대명사의 경우, 같은 단어라도 문장에서 어떻게 쓰였냐에 따라 그 분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음운 변동음운 변동


국어 문법 음운변동 3.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축약) 4.첨가(ㄴ첨가, 반모음 첨가)


(축약과 첨가는 수능 시험에 자주 나오는 유형만 놓고 봤을 때 많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하여 두 개를 한꺼번에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개인 공부 블로그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제 기준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들만


적게 되는 경향이 있어, 빠진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잘 이해가 안되는 내용의 경우 댓글을 통해 질문해 주시면 


최대한 답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D)



 

 축약

 


a+b = c 의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두 음운이 합쳐져서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축약되는) 현상입니다.


크게 거센소리되기와 모음 축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1.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ㄱ,ㄷ,ㅂ,ㅈ)가 ''을 만나면 거센소리(ㅋ,ㅌ,ㅍ,ㅊ)로 축약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ex) 수묵화 [수무콰]    + =  (의 거센소리인 으로)


     입학 [이팍]         + = (의 거센소리인 으로)



※참고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에 대한 설명은 지난 포스팅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습니다.


혹시라도 이 개념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링크)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요약하자면 간단하게 예사소리 < 된소리 < 거센소리 순서로 발음이 세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ex) ㅂ(예사소리) < ㅃ(된소리) < ㅍ(거센소리)




2. 모음 축약


간단하게 두 모음이 만나 다른 모음으로 바뀌는(축약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중 모음을 만드는 과정을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이중 모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ex) 배우 + 어 [배워]    ㅜ+ㅓ = (이중모음)



(※주의   나서 + 어 [나서] 의 경우엔 탈락입니다. ㅓ+ㅓ = ㅓ 의 형태로, 모음 하나가 중간에 탈락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기 + 어 [기여]는 모음 축약이 아닙니다. 반모음이 첨가된 형태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 는 그대로 있지만 '어'가 '여'로 반모음이 첨가된 형태. 첨가에 대해서는 바로 아래에서 다룹니다)

(2015년 수능 당시 문제)







 

 첨가

 

두 음운이 만나는 과정에서 다른 음운이 첨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1. ㄴ첨가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야,여,요,유'라면


ㅇ자리에 ㄴ을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해줍니다.




음. 그냥 저렇게만 설명하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안갈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꽃잎[꼰닙]  


끝이 자음인 ㅊ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음절이 '이' 로 끝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ㅇ자리를 ㄴ으로 첨가(교체 아닙니다. 저번 포스팅때도 강조했지만 ㅇ은 종성에서만 비로소 인정해줍니다.

잘 이해가 안가신다면 링크 클릭하시면 설명되어있습니다) 하면 됩니다.


비슷한 예로 막일[망닐], 식용유[시굥뉴] 



(참고로 식용유[시굥뉴]같은 경우에는 앞서서 말한 것 처럼 ㅇ이 종성에 있기 때문에 자음으로 인정해줘서

유가 뉴로 바뀐것입니다)




2. 반모음 첨가


용언의 어간 부분 뒤에서 반모음이 첨가되는 현상입니다.


앞에서 잠깐 주의사항으로 언급한 내용이 전부입니다.


ex) 피어 [피어/피여] 


'어'가 '여'로 반모음이 첨가된 상태



자음군 단순화자음군 단순화


수능 국어 문법 정리 (음운변동) 2. 탈락



 

 탈락

 

a → (없음)


ab → a


의 형태. 두 음운이 만나, 한 음운이 탈락하는 현상.




자음군 단순화


겹받침에 쓰인 음운들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ex)  앉[안]  않[안]





ㅎ 탈락


어간의 끝소리로 나온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아, 이 등) 형식 형태소와 결합할 때 'ㅎ' 탈락됩니다.


ex)  쌓아[싸아]






ㄹ 탈락


용언의 어간에서 끝소리로 나온 'ㄹ'이 'ㄴ,ㄷ,ㄹ,ㅂ,ㅅ,ㅈ' 등 자음 앞에서 'ㄹ' 탈락됩니다.


ex)  놀 + 는 → [노는]   살 + 는 → [사는]





으 탈락


어간의 끝소리로 나온 '으'가  '아', '어' 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으 ' 탈락됩니다.


ex)  쓰 + 어서 [써서]

+ Recent posts